정부 퇴짜에 114만 명 서명 동참…유례없던 ‘과학 시민혁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테니스 댓글 0건 | 조회 1회 작성일 25-07-08 04:20본문
평택필라테스 2004년 당시 우리나라에 있는 과학관은 모두 56곳으로 66.4%(전시면적 기준)는 수도권과 대전에 집중돼 있었다. 영·호남에 국립종합과학관은 전무했다. 인구 360여만 명의 대도시이자 동남권의 중추인 부산에는 과학관이 5곳에 불과했다. 1997년 부산 기장군 국립수산과학원 안에 문을 연 수산과학관과 부산과학교육원 내 과학관, 부산어린이회관,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그리고 부산진구 연지동 LG청소년과학관이 전부였다. 동남권에 국립과학관을 설립하겠다는 열망은 ‘과학문화도시-부산’을 위한 추진계획 수립으로 이어졌다. 부산시는 2005년 3월 7일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과학문화도시-부산’ 선포식을 열고 ‘과학문화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세부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동남권 국립과학관’ 건립을 추진함으로써 과학문화 기반 구축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는 2005년 8월 과학기술부에 ‘동남권 국립과학관 건립계획’을 제출했으나, 2006년 ‘제1차 과학관 육성 기본계획’에서 대구와 광주가 국립과학관 건립지로 선정됐다. 부산은 사업에서 제외됐다. 이에 대해 당시 기획예산처(기획재정부)는 “부산시는 2000년부터 추진, 종합계획을 수립해 왔고, 그 타당성은 인정한다”면서도, ‘1개 시·도 2개 국책사업’ 논리를 들어 당시 부산시에 건립될 예정이던 국립해양박물관과 중복된다는 이유로 부산의 국립과학관을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뺀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