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구 청년회관

본문 바로가기
  • 로그인
  • 회원가입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목포 구 청년회관 Cultural Space

목포 구 청년회관

 목포 구 청년회관

국가등록문화유산 제43호|남교소극장

 

전남 목포시 차범석길35번길 6-1 (남교동)




문화공간-4.목포구청년회관(상단이미지).jpg

 

 

 전남 목포시 남교동의 목포 구 청년회관은 목포 청년운동의 산실이었다1927년 신간회 목포지부와 근우회 목포지회 창립식이 열렸고 소작쟁의 운동을 했던 노동자들의 피난처로 활용되었다하지만 1930년대 사회운동의 침체기에 주인을 잃은 건물로 방치되었다목포 출신의 소설가 박화성(1903~1988)은 단편소설 <헐어진 청년회관(1934)>을 통해 민족운동의 침체를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목포 구 청년회관의 건물은 석조 단층 구조로 외형만 보면 주목할 만한 점이 없지만목포의 역사적·정신사적 맥락을 짚으면 항일 민족운동의 보금자리였다는 점에 의미가 깊다.

특히 이 건물은 19253월 목포 지역의 청년 활동가들이 시민들에게 모은 성금으로 지어졌다동양척식주식회사(현 목포근대역사관)와 호남은행 목포지점 등 일본인들이 지은 대부분의 목포 근대 건축물과는 다르다.

 

 

해방 이후에는 임마누엘 목포제일교회로 사용되어 오다가, 이후 2002913일 국가등록문화유산 제43호로 지정되었다건물 내부와 지붕의 구조는 건립 당시의 모습에서 크게 변형이 되었지만 석재인 벽체는 남아 있다.

 

 

 이런 역사를 지닌 목포 구 청년회관을 목포시는 2007년부터 국비와 시비 등 사업비 7억 원을 들여, 보수공사를 시작해 3년 만에 객석 90석 규모의 문화공연 전문공간인 남교 소극장으로 탈바꿈시켰다. ‘남교 소극장이라는 새 이름을 갖게 된 목포 청년회관은 개관 기념공연으로 201142일부터 목포시립연극단의 잘 자요, 엄마.’(마샤 노먼 작)를 무대에 올렸다.

 

 

 최근에는 다시 청년회관의 이름을 다시 사용하면서 공연과 전시회 등을 여는 다목적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문화공간

사이트 정보

목포문화재단 전화 061-245-8832~3 팩스 061-245-8885 이메일 mpcf8833@hanmail.net
주소 (우)58724 전남 목포시 수문로 32 트윈스타 412호

Copyright © 2025, 목포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